Artist statement
Life, already underway before the moment consciousness is recognized, instills in one a constant quest for vague yearnings and doubts about the meaning of existence. The irony grows more apparent with the realization that the journey on this earth began entirely by the choices of others, prompting the thought that perhaps every human has been handed the same absolute evaluation test. If the inception of life began by the choice of the one living it, then that choice itself would have become the purpose of life and the reason for existence. However, the premise that it is not so suggests that it might contain within it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plan and will of the absolute being and fulfilling a mission.
Consequently, I have harbored profound questions about the reasons and meanings of existence for a long time, while observing the repetitive routine of daily life. Life,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an observer, seemed to each have its own reasons. Though still merely a series of unanswered questions, the resonance of this finite journey through life as a unique opportunity in my life became deeply ingrained.
The shift in perception towards life has stirred an unspoken camaraderie towards those who share this era. With a desire for each individual's footsteps to become valuable meanings in their lives, and with a hope that every existence can fulfill its given mission in life.
Consequently, I reinterpret the intricately intertwined and ephemeral human life and the meaning of existence, recording this journey in my own way, infused with small expectations and hopes.
작가노트
의식을 인식하는 시점 이전에 이미 시작된 인생은 존재 의미에 대한 막연한 갈망과 의구심을 끊임없이 모색하게 한다. 온전히 타인의 선택으로 이 땅에 머무는 여정이 시작되었다는 사실이 생각할 수록 아이러니하면서도, 그러기에 모든 인간에게 동일한 절대평가 시험지가 주어졌다는 생각이 들었다. 생의 시작이 그 생을 사는 자의 선택으로 출발했다면, 그 선택 자체가 인생의 목적이고 생의 이유가 되겠지만, 그렇지 않다는 전제는 그에게 향한 절대자의 계획과 뜻을 이해하고 소명을 다하는 삶을 살아내라는 목적이 담긴 게 아닐까?
그래서인지 나는 오래전부터 존재 이유와 의미에 대해 커다란 의문을 품은 채 매일 같이 반복되는 일상을 관찰하곤 했다. 관찰자 시점으로 바라보는 인생은 하나 같이 나름의 이유가 있어 보였다. 물론 여전히 그저 답없는 질문의 연속이긴 했지만, 이 유한한 삶의 여정은 내 인생에 단 한번 뿐인 특별한 기회라는 울림이 깊이 들어섰다. 생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이 시대를 함께 살아가는 이들에게 향한 이름 모를 동지애를 불러 일으켰다. 각자의 걸음의 자취가 그들 생에 값진 의미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과, 더불어 모든 존재가 그 삶 속에서 주어진 생의 소명을 다할 수 있기를..
그렇게 나는 복잡 미묘하게 얽히고설킨 유영하는 인간의 삶과 존재 의미를 재해석하며 이 여정을 나름의 방식으로 작은 기대와 소망을 담아 기록한다.
I frequently draw upon the properties of materials such as objects, gold, and cement in my work. Objects that are produced with precision and purpose, even if they eventually deviate from their original intent and plan, are remembered by their creators for the reasons and values they hold. These characteristics of objects are akin to us, as we constantly harbor questions within ourselves yet persistently find our place in the world.
In this way, the objects within my artworks are both reflections of myself and us as a whole, symbolically encompassing all the physical and metaphysical elements that constitute life.
The gold in my work combines the bright color with the characteristics of minerals, symbolizing sanctity, high value, hope, purity, and abundance, while also representing the materialism, arrogance, and extravagance of our contemporary world. This dual nature of gold serves as a symbolic medium portraying the multifaceted nature of human existence and our current era.
While recording my work as one of hope and aspiration, I indirectly reveal the restless uncertainty and the complex, subtle skepticism about human existence through the element of gold.
Lastly, cement, originally a mineral material derived from pure nature, encapsulates the repetitive and harsh daily life of modern individuals, which sometimes goes against nature. Cement's properties, seemingly situated between nature and modern society, serve as a direct medium for displaying the multifaceted aspects of human society.
Through the work that began from questions about existence and inquiries, I am in the process of recording my thoughts and traces. I hope that these records will offer a small source of comfort and joy to those who appreciate them amidst their busy daily lives.
나는 사물과 금색 그리고 시멘트의 물성을 자주 차용해 작업한다.정확한 계획과 목적을 갖고 생산된 사물은 본래 만들어진 목적과 계획에서 벗어나 어딘가에 자리한다고 해도 그 사물을 계획하고 생산한 이는 사물의 이유와 가치를 기억할 것이다. 이러한 사물의 특징은 지금 이 순간에도 끊임없는 의문을 품는 나 자신 같으면서도, 여전히 하염없이 어딘가에 자리하며 성실히 살아가는 우리들의 모습 같다. 그렇게 작품 속 사물은 나 자신이자 우리 자신이며 삶을 구성하는 모든 물리적 ㆍ비물리적 요소를 은유적으로 담는다.
작품 속 금색은 밝은 빛깔의 색감에 광물의 특징이 더해져 신성함과 고가치, 기대와 희망, 순수함과 풍요로움을 상징하는 동시에 오늘날 천박한 물질만능주의와 교만과 사치를 상징한다. 이러한 금색의 양면성은 입체적인 인간상과 우리 시대의 면모를 상징적으로 담아내는 매개체로 작용한다. 나는 희망과 소망을 기대하는 작품으로 기록하면서도 그 안에 꿈틀거리는 불안함과 인간 존재에 대한 복잡하고 미묘한 회의감을 금색이라는 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드러낸다.
마지막으로 시멘트는 순수 자연에서 출발한 무기질 재료이지만, 동시에 자연을 거스르는 현대인의 반복적이고 각박한 일상을 담는다. 자연과 현대 사회 어느 중간 지점에 자리한 듯한 시멘트의 물성은 인간 사회의 다중적인 면모를 직설적으로 보여주는 매개체이다.그렇게 존재 이유와 의문으로부터 시작된 작업을 통해 나름의 생각과 자취를 기록해 나가는 중이다. 이러한 기록들이 감상하는 이들에게 작게나마 바쁜 일상 속 위로와 즐거움이 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