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Being
2016
Being
Amidst the ceaseless flow of time, new lives begin everywhere, and when their time comes, they depart, leaving only traces behind. The lives that come follow a sequential order, but the lives that pass accumulate haphazardly without organization. These lives, left behind as traces, resemble a mass. Some of these traces become legacies that illuminate human history, while others are like dust quietly gathering in the distance. This raises a profound question for me about the meaning of existence and the reason for our lives as individuals who have received the gift of life.
This series, covered in gold, is made from clay, acrylic paint, and everyday objects. The clay symbolizes the human body, bound by physical limitations, and its eventual return to nature. According to the Bible, God created humans from dust and His breath, in His own image. Thus, when our lives end, our bodies return to nature. In the artwork, as the clay takes on form and naturally develops cracks and fissures over time, I fill those gaps with acrylic paint, akin to the breath of God. The acrylic paint stabilizes and preserves the fragile form of the dried clay. In this work, the tool typically used for painting serves as an adhesive, holding the crumbling clay together, symbolizing our self housed within a physical and biological body. The everyday objects, scattered without order within, represent myself, ourselves, past moments, traces, and the ordinary aspects of life.
Finally, the objects are covered in gold, restricting the visual elements that allow us to judge their color, function, or importance. This encourages the viewer to confront the form and individuality of the mass itself and invites reflection on the meaning of existence from a broader perspective
끊임없이 흐르는 시간 속 곳곳에서 새로운 인생들이 시작되고 때가 되면 흔적만 남긴 채 떠난다. 다가오는 인생은 순차적으로 오나, 지나간 인생은 정리 없이 뒤섞여 쌓인다. 그렇게 흔적으로 남겨진 인생은 하나의 덩어리 같다. 누군가의 남겨진 흔적은 인류사를 밝히는 유산이 되기도 하고 누군가의 흔적은 저편에 조용히 쌓인 먼지 같기도 하다. 이것은 태어남을 얻은 우리 각 사람의 존재 의미와 삶의 이유에 대해 나로하여금 커다란 의문을 품게 한다.
금색으로 덮인 이 시리즈는 점토와 아크릴 물감 그리고 일상 오브제로 만들어졌다. 흙은 물리적 한계를 지닌 인간의 신체와 자연으로 돌아감을 상징한다. 성경에 의하면 하나님은 인간을 자신의 형상을 따라 흙과 그의 숨으로 지었다고 한다. 그래서 우리의 생이 다하면 몸은 다시 자연으로 돌아간다. 작품 속 흙이 그렇게 어떠한 형태를 얻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의 땅처럼 균열이 생기고 갈라지게 되면, 나는 그 틈에 신의 숨과 같은 아크릴 물감을 채워 넣는다. 아크릴 물감은 말라버린 점토의 연약한 형태를 고정하고 견고하게 유지한다. 그림을 그리는 창작의 도구가 이 작업 속에서는 흐트러지는 흙을 단단히 붙잡는 접착제 역할을 한다. 이는 물리적 생물학적 신체 안에 담긴 우리의 자아를 상징한다. 그리고 그 안에 정리 없이 자리한 일상 오브제는 나 자신이자 우리 자신, 지나간 순간, 흔적, 평범한 일상을 담는다.
마지막으로 금색으로 덮임으로 각 사물의 색깔, 기능, 중함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시각적 요소를 제한시킨다. 이는 덩어리 자체의 형상과 개성을 마주하게 하며, 거시적 차원에서 존재의 의미를 생각해볼 것을 제안한다.
Being n'6_ 2016 everyday objects, imitation gold leaf 62x40x60 cm
Being n'2_ 2016 everyday objects, imitation gold leaf 120x60x60 cm
Being n'3_ 2016 everyday objects, imitation gold leaf 30x36x27 cm
Being n'4_ 2016 everyday objects, imitation gold leaf 32x16x15 cm